광주민중항쟁과 문예운동 이정표에 대한 확신 '광주민중항쟁의 역사적 현재성'이라는 제목 아래 첫째, 광주민중항쟁이 민족문학사에 미친 영향, 둘째, 그로 인한 1980년대 문학운동의 양상, 셋째, 1990년대의 과제와 광주민중항쟁을 살펴보려 한다. 사회발전의 어느 측면을 이야기할 때 반드시 먼저 평가해야 할 문제가 있다. 현실을 변화시켜 간 실세가 뉘 손에 있었는가를 따지는 일이다. 사회의 여러 현상들을 변화시키는 궁극적인 힘은 정치인이나 진보적 지식인 혹은 선진적 사회운동가 등 소수에게 있지 않다. 역사는 민중의 것이다. …
광주민중항쟁과 문학 5월 민중 항쟁은 1980년 5월 18일에 광주 일대에서 늦봄의 따스한 햇살을 받아 활짝 피었다가 5월 27일에 정치군부의 총칼에 의해 무참하게 잘린 한국민중운동의 꽃이다. 휴전협정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의 민중운동이 비축한 역량을, 특히 4 월 혁명의 유산을, 총체적으로 계승하되 그런 운동의 수준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한 그 고귀한 항쟁의 꽃은 상대적 빈곤과 지역적 소외와 반민주로 불결해진 세상의 변혁을 열망하며 피었건만 도륙도 서슴지 않는 패륜의 무리들에 의해 제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 학술제 / 광주민중항쟁과 문학 희망 뿌리 내리기 고려대 교육문예모임 1. 우리를 괴롭히는 것은 우리들의 두려움이었다 2. 피흘리지 않고서야 세계를 획득할 수 있겠는가 --광주민중항쟁이 일어난 배경과 성격 3. 우리가 읽은 소설은요 4. 다시 그 거리에 서면 --소설 속에 나타난 광주민중항쟁의 상황과 전개 5. 져도 지는 것이 아닐 수 있어, 그래도 이런 엄청난 피의 대가로 알게 되는 것이 슬퍼 --광주사람들의 삶의 태도와 인식내 6. 기다림이 아름다운 세월…
「해직시절」을 말한다 광주민중항쟁관련 李光宇 교수 교수노릇 못해도 애비노릇은 해야지 앞치마 두르고 튀김 튀기며 삭인 울분 崔時永 “후덥덥하던 장마철, 마침 부슬비가 내리던 초저녁이었어요. 저녁상을 막 물리고 앉아 있는데 우악스럽게 생긴 사내 둘이 느닷없이 들이닥칩디다.”1980년 7월 10일 밤.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이광우(56·李光宇)교수는 이렇게 체포되었다. 그에게는 ‘기억하고 싶지도 않은’길고도 험난한, ‘악몽의 49개월’의 첫날은 이렇게 시작됐다. 5·18직후부터 교수들이 하나 둘씩 끌려감에 따라 극도의 공포감에…
특집/광주민중항쟁, 그후 15년 군인들이 쏜 총에 두 눈을 잃고 강 해 중 구술 지금으로부터 15년 전인 1980년 5월, 광주의 중심가는 피범벅이 되었지만 외곽에 위치한 우리 집은 평온했다. 단지 당시 31사단 방위 근무중인 큰아들이 닷세째 집으로 돌아오지 않아 걱정하고 있을 뿐이었다. 그 아들을 찾으려고 시내로 들어갔을 때는 시민군들과 군인들이 격렬하게 대치하고 있었다. 우여곡절 끝에 아들을 보고 온 나는 고등학생이었던 두 아들을 일단 피신시키기로 했다. 우리 동네의 많은 학생들이 시민군에 참여했지만 나는 아들들을 보낼수가…
제 2 절 상무대로 연행(27일 07:30 - 22:50) 07:30 - 09:30 - 기갑학교 인원 1/48, 전차 14대, APC 1/4톤 1대 무력시위, 금남로-도청-학동- 시민회관-광주구역-부대. (계엄사 상황일지) - 공무원 근무 개시 - 시내전화 개통. 07:45 - 작전 성공요인 1. 기습 달성 2. 광주시내 주동 폭도들의 활동에 대한 정확한 정보 입수 3. 작전계획의 보안유지를 위해 계획으로만 발전시키고 실제 작전투입을 위한 명령을 작전개시 2시간 전에 하달 4. 계획시행 전 유…
제 5 장 도청 함락 제 1 절 최후의 항쟁(27일 00:00 - 06:00) 외곽지역의 시민들로부터 계엄군이 쳐들어온다는 제보가 속속 들어오고 도청 행정전화가 끊기자 도청 상황실은 술렁거리기 시작했다. 홍보부에서는 시민들에게 이 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결정하고 광주시내 전지역을 돌면서 마지막 가두방송을 했다. "시민 여러분, 지금 계엄군이 쳐들어오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우리 형제자매들이 계엄군의 총칼에 숨져가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 일어나서 계엄군과 끝까지 싸웁시다." 애절한 여자의 목소리가 정적을 가르…
제 3 절 항쟁지도부의 탄생과 활동 (25일 22:00 - 26일 밤) 새로 구성된 항쟁지도부는 그 명칭을 수습대책위원회에서 민주시민투쟁위원회로 바꾸고 무장투쟁을 준비해 가는 한편, 시민들의 민원사항 등을 처리하기 위해 행정체계를 정립해 갔다. 아침 일찍부터 각 부서별로 업무를 분담하여 시민생활 정상화에 노력했으며, 기동타격대로 재조직된 무장병력은 시내순찰과 계엄군의 동태 파악, 치안유지 등의 임무를 부여받았다. 26일 새벽 계엄군이 탱크를 앞세우고 농성동 한전 앞까지 진입했다는 소식이 도청 상황실에 보고되자 전시민군에…
제 2 절 민주수호 범시민궐기대회 (23일 - 25일 오후) 도청 앞 광장에 모인 시민들은 23일 오후부터 매일 오후 2시 '민주수호 범시민 궐기대회'를 열었다. 노동자, 시민, 학생, 가정주부 등 각계각층 사람들이 분수대 위로 올라가 계엄군의 만행을 성토하고 앞으로의 수습대책을 토론했다. 또한 그때 파악된 피해상황이 보고되었으며 장례준비를 위한 모금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도청의 '수습대책위원회'는 시민들의 의사를 수렴하지 못하고 미온적인 태도로 계엄사와 협상을 벌이고 있었다. 일방적인 무기반납만을 주장함에 따라…
제 4 장 해 방 기 간 제 1 절 수습위원회의 구성(21일 20:00 - 22일) 계엄군이 물러가고 도청이 시민군의 손에 들어왔다는 소식은 밤사이 광주시 전역에 전해졌다. 흥분과 감격에 젖어 이른 아침부터 도청으로 몰려든 시민들은 속속 발표되는 사망자 숫자와 처참하게 일그러진 시체들을 보며 계엄군의 잔학상에 치를 떨었고 앞으로의 상황변화를 예의주시하며 도청 앞에서 궐기대회를 가졌다. 시민들은 자체치안 확보와 질서확립을 위해 스스로 거리를 청소하고 경계근무를 섰다. 해방기간 광주에서는 큰 안전사고 없이 생활물자를 나누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