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5·18기념관은 80년 5·18항쟁을 정점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민주화운동 역사에서 전남대인들이 함께 걸었던 발자취를 모아 기억하고 기념하기 위한 공간이자 또한 이를 현재적 의미로 승화시키기 위한 공간이다. 5·18기념관에는 광주의 일반 시민, 전남대학교 출신 민주화운동가 및 교수들이 소장하고 있던 성명서, 전단지, 회의록, 메모, 서적, 사진, 비디오, 희생자들의 유품, 항쟁 당시 용품 등 귀중한 자료 1,000여점이 각 주제별로 전시되어 있다.
또한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전남대학교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산화한 김남주, 윤상원, 박관현, 박승희 등 전남대학교 출신 열사들의 활동과 수고한 정신도 보고 느낄 수 있다. 5·18기념관은 비록 넓지 않은 공간이지만 세대 및 지역간에 ‘단절된 5·18’을 서로 공감하여 연대할 수 있는 기억과 학습의 장이다.
제1관 민주역사관은 1960년대 이후 현재까지 전남대 학생과 교수가 참여했던 주요 투쟁과 운동의 기록을 소개하고 있다.
제2관 오월관은 5·18항쟁의 전개과정을 사진과 현장 자료들을 중심으로 재현하여 5·18항쟁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공간이다.
제3관 민주열사관은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였던 전남대 열사들의 삶을 이해하고 추모하는 곳이다.
제4관 민주영상관은 민주화운동의 영상기록과 영화, 비디오 등 영상자료를 관람할 수 있는 곳이다.
제5관 민주감성관은 5·18 및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와 예술작품을 기획 전시하는 공간이다.
제6관 아카이브실은 전남대가 축척해 온 민주화운동 연구와 성과와 기념물들을 보관 열람 공유하는 공간이다.
계엄확대 조치와 산발적 시위 (1980. 5. 17. ~ 5. 18.)
비상계엄령 전국 확대, 광주 시내 대학에 계엄군 진주 및 학생연행
전남대 정문에서 학생, 공수부대 간 최초 충돌
오후 유동삼거리에 공수부대 등장하면서 진압 작전 감행
시위과정에서 시민·학생 549명이 검거됨
강경진압에 대한 시위 확산 (1980. 5. 19. ~ 5. 20.)
시민들 광주 시내 운집하기 시작. 11공수여단 광주에 증파
오전 가톨릭센터 앞에서 남녀 30여 명이 속옷만 입은 채 구타당함 / 공수부대와 시민 간의 공방전 계속
오후 200여 대의 택시가 전조등을 켜고 경적을 올리며 차량시위 전개
저녁 광주 MBC 사옥 방화
계엄군의 집단 발포와 무장항쟁 (1980. 5. 21.)
오전 실탄 지급 받은 공수부대원 맨 앞으로 배치
도청 스피커에서 애국가 울리자 공수부대 사격 시작
시민들이 아시아 자동차 공장에서 군용트럭, 장갑차 수십 대 끌고 나옴
화순, 나주지역에서 무기 획득한 시위대가 도청 앞에서 시가전 전개 / 오후 공수부대원 시 외곽으로 철수
해방광주, 시민자치 공동체 (1980. 5. 22. ~ 5. 26.)
시민수습대책위원회 결성
시체 18구를 도청광장에 안치한 채 시민대회 개최
학생수습위원회 대변인 외신기자들에게 광주 상황 브리핑
시민군, "계엄군이 오늘 밤 침공할 가능성이 크다"고 공식 발표
무력진압과 결사항전 (1980. 5. 27.)
새벽 탱크를 앞세우고 계엄군 시내로 진입
새벽 도청주변 완전 포위, 시가전 전개
새벽 계엄군, 도청을 비롯한 시내 전역 장악하고 진압 작전 종료
새벽 계엄군 무력진압으로 5·18항쟁 막을 내림